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되셨다면,
가장 먼저 헷갈리는 것 중 하나가 바로 ‘글쓰기 에디터’ 사용법일 거예요.
“줄 간격이 왜 이래?”,
“폰트 크기 조절이 안 돼요”,
“글 정렬이 마음대로 안 돼요”…
저 역시 처음에는 이런 부분 때문에 글을 쓰다가 멈춘 적이 많았어요.
하지만 마크다운 문법과 HTML 기초만 조금 알아도
글의 완성도가 확 달라집니다.
오늘은 티스토리 글쓰기에서 알아두면 좋은 마크다운 문법과 HTML 태그 기본을
예시와 함께 쉽게 정리해드릴게요!
✍️ 티스토리 글쓰기, 에디터의 두 가지 모드
티스토리에서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방식으로 글을 쓸 수 있어요.
- 일반(에디터) 모드
- 워드처럼 버튼 클릭으로 꾸미는 방식
- 굵게, 기울임, 목록, 링크 등을 쉽게 입력 가능
- HTML 모드
- 직접 HTML 태그를 입력해서 원하는 대로 스타일을 조정
- 글 꾸미기 자유도 ↑, 특히 애드센스 코드 삽입 등에 필수!
💡 추천: 처음에는 에디터 모드로 시작하되,
글에 광고 삽입하거나 레이아웃을 직접 꾸미고 싶다면 HTML 모드도 꼭 익혀두세요.
📌 마크다운 문법, 이렇게 간단해요
마크다운(Markdown)은 간단한 기호를 이용해 글의 서식을 지정하는 문법이에요.
티스토리에서는 일부 마크다운 문법이 적용되거나
HTML과 병행해 사용할 수 있어요.
✅ 자주 쓰는 마크다운 문법 예시
📝 티스토리에서는 완벽하게 마크다운을 지원하진 않지만,
이런 구조로 글을 정리하면 SEO에 강한 구조가 만들어져요.
특히 # 제목 태그는 HTML의 <h1>, <h2>로 변환되어
검색엔진이 글의 핵심 구조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
🧩 HTML 태그, 기본만 알아도 유용해요
HTML은 ‘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’의 약자예요.
블로그 글에서도 기초적인 HTML 태그만 알아두면 다양한 꾸밈이 가능해요.
✅ 자주 쓰는 HTML 태그 정리
굵은 글씨 | <strong>굵은 글씨</strong> |
기울임 | <em>기울임</em> |
줄바꿈 | <br> |
구분선 | <hr> |
제목 | <h2>제목</h2> |
링크 | 링크 텍스트 |
이미지 삽입 | <img src="이미지주소" alt="설명"> |
가운데 정렬 | <div style="text-align:center;">내용</div> |
💡 포인트
- 줄 간격, 텍스트 정렬, 이미지 위치 조정 등은 HTML로 직접 지정하면 훨씬 자유로워요.
- <h1>, <h2> 태그는 SEO에서 매우 중요한 구조이므로 꼭 사용하세요.
💡 실전 예제: 본문 구조 잡는 기본 HTML 템플릿
이 구조로 글을 쓰면
검색엔진이 제목 - 내용 - 정리의 흐름을 인식할 수 있어서 애드센스 승인에도 긍정적이에요.
📈 애드센스 승인을 위한 마크업 팁
- h 태그(h2~h3)를 활용해 글의 뼈대 만들기
- 예: 소제목은 <h2>, 세부 설명은 <h3>
- 목차 기능을 활용해 체계적인 글 구성
- 글 서두에 목록을 넣고, 제목에 앵커를 달면 좋음
- 이미지에는 반드시 alt 텍스트 추가
-
html복사편집<img src="주소" alt="SEO에 좋은 이미지 설명">
- 불필요한 스타일 태그 남용은 피하기
- 예: <span style="font-size:28px;"> 같은 과한 태그는 승인에 악영향 가능성 있음
✅ 마무리 팁: 글쓰기 전에 이것만 체크하세요!
- 제목에 키워드가 잘 들어가 있는가?
- 소제목(h2/h3)으로 내용이 잘 나뉘었는가?
- 단락은 3~4줄 이내로 깔끔하게 정리했는가?
- 이미지에는 alt 태그를 달았는가?
- 내용은 순수 정보 전달 위주인가?
🧾 마무리하며
처음엔 HTML이나 마크다운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.
하지만 글을 몇 편만 써보면,
오히려 ‘내가 원하는 스타일로 꾸밀 수 있다’는 재미를 느끼게 됩니다.
특히 애드센스를 목표로 블로그를 운영하신다면,
이런 마크업 정리는 단순한 꾸밈이 아니라
SEO와 신뢰도를 높이는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.
티스토리 글쓰기에 조금만 익숙해지면,
글의 가독성과 완성도가 확 달라집니다.
오늘부터 하나씩 적용해보시길 추천드려요!